Giter Club home page Giter Club logo

animal-shelter's Introduction

Hi there 👋 It's FoRA

저는 이런 사람입니다.

Hits

Anurag's GitHub stats

Profile Image

홍보합니다. 관심있으시면 한번 들렸다 가주세요.

#_hop.step.jump

animal-shelter's People

Contributors

cherryong avatar fora22 avatar kangyejee avatar

Stargazers

 avatar

Watchers

 avatar

animal-shelter's Issues

[공간 입지-배분 기법 제안]

입지 배분 모형 :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이용자에게 공공서비스 시설을 어디에 입지 시키는것이 최적인가를 제시해주는 수학적 모형. 입지 문제의 경우 서비스를 제공받는 인구분포를 알고 있을 때 사용. [출처 : 국회도서관, GIS 기법을 활용한 국공립 보육시설의 입지분석에 관한연구]
개인적인 의견인데 분석 방법중에 입지 배분 기법을 활용해보면 좋지 않을까 싶어요 ! 공간 입지-배분(Spatial Location-Allocation) 모형기반의 충청남도 화재 출동거점 선정 연구 를 읽어봤는데 전제조건은 충족하는것 같고 괜찮은 방법인 것 같아서 제안해요. 다른 분들 의견 어떠신지 듣고 싶어서 이슈에 올려요 !

TEST 이슈

show_cor <- function(datadf) {
s_datadf <- scale(datadf)
corrplot(cor(s_datadf), method = "number")
}
show_cor(df)
proc_df <- df[, c(-2,-5,-7)]
show_cor(proc_df[,c(-2, -6)])
new_df <- proc_df[,c(-2, -6)]
# install.packages("NbClust")
library(NbClust)
s_new_df <- scale(new_df)
nc <- NbClust(s_new_df, min.nc = 2, max.nc = 15, method = "kmeans")
par(mfrow=c(1,1))
barplot(table(nc$Best.n[1,]),
xlab="Numer of Clusters", ylab="Number of Criteria",
main="Number of Clusters Chosen")

제가 생각했을 떄 이 코드는 너무 형편없네요 바꿔주세요~!!!

EDA와 상관분석

변수 취합해주신거 확인 완료했습니다.
EDA 완료하였고 상관분석 실시했습니다.
(파일은 next_level_Cherryong 폴더에 correaltion1 확인해주세용)

혹시 이번에는 변수 자체가 얼마 없어서 안해도 되는걸까요?????

확인 부탁드릴게요,,!!

팀 규칙(Team Rule)

Github와 같은 협업툴에서는 팀 내의 규칙이 중요합니다. 간단하게 적어볼테니 읽어주시고 반영해주세요

기본 규칙

  • 이슈를 올릴 내용(의견을 묻거나, ~해줬으면 or ~했으면 좋겠다 싶은 거, 진행에 있는 결정 사항 의논 등)이 생길 때마다 Issue에 올려서 대화한다.
  • 논의할 내용이 2 ~ 3개라면 한 이슈에 다 올리지 말고, 2 ~ 3개의 이슈를 올린다.
    • 이슈가 해결되었는지 판단하기 쉽기 위하여
  • 이슈를 확인하면 이모티콘을 남긴다.
    • 여기서 확인은 'Issue 가 올라왔구나'가 아닌 'Issue를 읽고 내용에 대해 인지를 했을 때'를 뜻한다.
    • 당장 확인 하기 힘들다면 나중에 확인 후 이모티콘을 남기도록 한다.
  • 미션 마감 시간 정확히 공지하기!
    • ex. 오전까지, 오후까지, 밤까지 보다는 오후 12시 전까지처럼 쓴다
  • '주의 깊게', '가능한 한 빠르게' 확인해줬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면 제목에 [중요]를 추가한다.
    • 예시 : [중요] 팀규칙에 관하여 질문

최종 입지 선정시 고려해야할 사항

저도 하영님과 의견이 비슷해서 아무래도 자주 찾을 수 있어야 하지 않나 싶어서 교통시설이 편리하면 접근성이 좋을거라고 생각했었어요 ! 그리고 제가 알기로는 대부분의 보호센터에서 입양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어서 입양자에 대한 접근성을 생각했던건데 저희가 입지 선정하는 보호소가 단순 보호만 하는곳을 전제로 하는건가요 ?? 살짝 혼동이 와서 ..

음...단순 보호만 하는 곳을 전제로 한건 아니구요. 제가 외곽지역을 이야기하는 이유를 정리하자면

  1. 현실적인 이유
  • 큰 개와 같은 중, 대형 동물은 야외 공간이 필요하다.
  • 소음, 냄새 등으로 민원이 많아 지자체에서 설치하는 동물보호센터는 대부분 외곽지역에 있다.
  • 입양시에 대부분 케이지에 넣어 대중교통이 아닌, 차량(택시, 자차 등)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자료는 없어서 추측이긴 합니다)
  • 도심에 설치하는 것이 입양 시의 이점을 높이기 위해서라면, 도심에 설치함으로 인한 단점(소음, 냄새)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우리가 제시할 수 없다.
    • 지자체도 해결할 수 없었기 때문에 외곽으로 설치한게 아닐까 싶습니다!
  1. 궁극적인 목적

저는 유기동물보호소 설치의 주 목적이 궁극적으로는 "유기동물 입양 활성화"로 이어져야 한다고 생각해서요.

  • 저도 유기동물 입양 활성화가 주 목적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크게 2개 : 입양 활성화, 유기동물의 빠른 구조 및 보호)
  • 하지만 외곽지역 위치에 대한 접근이 어려움이라면 온라인 상담 및 설문조사, 집에서 가장 가까운 다른 보호소에서 상담 및 문의가 이뤄지고 데려갈 때만 방문 등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
  • 실제로 동물자유연대 입양절차를 살펴보면 이메일로 입양신청서 작성 및 신청 -> 전화 상담 -> 방문 상담 -> '입양 결정 후 센터가 집으로 유기동물 이송' 혹은 '센터 방문하여 케이지로 직접 데리고 감' 인데 방문 횟수는 1 ~ 2번 정도입니다.

Originally posted by @fora22 in #3 (comment)

분업을 시작해볼까요?

진행해야 할 것들

  • 변수 확정 및 취합
    - #3 참조
    - 체크 표시된 부분 필수
    - 체크 표시되지 않은 부분 찾아보고 없으면 생략

  • AHP
    - 설문조사지 생성(9점/ 7점 척도로 만드는 것 주의!)
    - 분석 시작

  • 군집화 분석
    - 확정된 변수에 따라 분석 코드로 분석

  • 최종 선정 방법 고민/분석
    - #5 참조

각각 한 사람씩 맡으면 될 것 같은데 어떠신가요? ? ?

12일까지 다녀오겠습니다.

12일까지 다녀오겠습니다.

여기에서 말했던 것 처럼 잠시 휴가 좀 다녀오겠습니다. 기간이 겹쳐서 죄송하네요. 지금처럼 이슈로 얘기하셔도 되고, 답답하다 여기시면 날 잡아서 온라인 화상 미팅 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의사 결정이나 조율은 하영님이 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잘 부탁 드립니다. @Cherryong

조율해야 할 이슈

#3

#3 (comment) 에서 체크박스 체크된 것으로 분석 진행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시간 상 8일 이후에는 추가적인 변수는 고려하지 말고 진행해야 한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4 , #5

공간 입지-배분 내용은 적용 안하는 것으로 분위기가 흘러가는 같네요. 대신 조금 걱정되는 것은 마지막 최종 선정에서 어떤 변수로 진행할건지 감이 안와서요. 최종 선정 변수는 #5 에서도 다루는 내용이므로 #4 는 close 하는 게 좋아보입니다.

당부사항

저희 군집화코드는 있지만 변수가 다르고

AHP 같은 경우 설문조사를 진행해야 되기 떄문에 빠르게 진행해야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변수가 결정되면 분업을 해야 될 것 같은데

  • AHP 설문조사 및 분석
  • 군집화 분석
  • 최종 선정 방법 고민 및 분석
    등으로 나누면 어떨까 싶어요.

AHP 설문 조사시에 이번에는 꼭!! 9점이나 7점 척도 제대로!!

(평가 갯수가 5개라 저번에 저희 3점 척도로 된거 기억나시죠? ㅎㅎ) @yedimi

저도 시간 나는대로 Github 잠깐 들어와서 이슈는 살펴볼게요

공모전용 데이터셋 제공 관련

지금까지 나왔던 요인(변수) 관련해서 데이터 취합 및 설명본은 제공했습니다!
다만 좀 더 명확하게 구별하기 위해 해당 변수를 다음과 같이 분류했습니다.

선정요인별 변수 재구성

  • 구조(유기동물 발생 수/119센터/동물등록제 -> 동물 등록시 구조가 더욱 빨리 될 것으로 판단)
  • 동물환경(가구원 수/경제적 요인(소득)/동물 병원/동물 약국/애완용품점/애견카페)
  • 긍정(입양 수/반려동물 경험 유)
  • 부정(안락사 수/반려동물 경험 무)

체크 관련된 항목은 모두 포함하였고, 비체크 항목은 밑과 같이 찾은 부분은 포함했지만 2가지 변수는 최종적으로 찾지 못해 제외했습니다.

[데이터셋O]

  • 119안전센터
  • 애완용품점
  • 애견카페
  • 동물약국

[데이터셋 X]

  • 시군구청 내 유기동물 구조/보호 담당기관
    해당 데이터 찾을 수 없음, 전국야생동물구조센터정보표준데이터가 있지만 야생동물에 해당되지 않기에 제외함

  • 반려동물 동반이 가능한 식당
    일일히 찾으면 가능할 수도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함

결과보고서 피드백 반영(오후 6시까지)

Next_Level > Kangyejee > 분석결과보고서에 올려뒀습니다~!

업무 중 들어가보셔서 피드백 반영해주시면,
내일 서울 빅캠에 다녀온 후 자택에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후 6-7시 예정)

요인 선정에 관한 자료조사 및 논의

논의배경

image

용어를 통일하자면 저희 엑셀파일에 있는 각 column이 변수이고 이미지의 '서울시 인구통계 특성지수', '동물내 특성지수', '동물외 특성지수' 등이 요인이라고 하겠습니다.

저는 요인을 변경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래서 요인에 관해서 저희가 필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정의하고, 거기에 따른 변수를 찾아보면 될 것 같아요.

  1. 공공 동물보호소 입지 선정에 필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2. 그 요인을 구성하는 변수는 무엇인가?

실제로 우수상을 받은 반려견 놀이터를 보면 요인 3개이지만 딱 필요한 변수만 골라서 사용했기 때문에 오히려 깔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요인이 깔끔하니 군집화 평가에서도, 어떤 군집이 좋은 군집인지 판단하기 쉽고요. 그래서 저희도 요인에 관한 논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결론

그래서 10/6(수) 오전 11시 까지 이슈에 본인이 생각했을 때 필요한 요인그 이유를 적어주세요. 이유 같은 경우에는 근거가 되는 자료의 출처(링크, 보고서 이름 등)을 꼭 적어주세요!!

PCA, FA

저희.. pca와 fa에 대한 분업은 안된 것 같아서요 ㅠㅠ!! ㅠㅠㅠ
우선 제가 해보고 있긴 한데 요인에 대한 변수가 워낙 없어서 제대로 되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그림1

우선 제가 일하면서 상관행렬->fa model 까지 진행했습니다!
업무가 꽤 있어서 저 혼자 하면서 더 늦기 전에 집단지성을 위해 이슈 올립니다,,, ㅎㅎ

  1. pca 전에 생성하는 loading 곱 가중합/산술평균 fa 데이터 셋에 대해.. 제가 부족하게 알고 있는 듯 하여 함께 진행해주실 분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2. 이후에 군집화를 진행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군집모델 평가 방법

저희는 실루엣 계수를 통해 높은 모델+ 요인(PCA, FA)이 가장 높은 것을 선택해 사용했잖아요...!

해당 응집도: SSE(군집 내 데이터가 얼마나 많이 모여 있는가)가 작고
분리도(군집 간 거리가 얼마나 많이 떨어져 있는지)를 통해 군집 모델을 유의성을 평가하는 방법(코드)을 찾아 공유합니다!!

[군집분석]

최적입지 선정시 위치/주소를 통해 쉽게 버퍼 생성하는 꿀팁!

우선 GeocodingTool이라는 파일 설치가 필요한데, 밑 링크의 설명을 따라 설치해주세요!
[지오코딩으로 주소->위도,경도 구글 맵 좌표 변환하기]

주소가 적힌 엑셀 파일만 있으면 **'파일로 처리'**를 눌러 엑셀 파일을 불러온 후 구분자 및 컬럼 설정을 마치면
원하는 경로 cpg, dbf, prj, shp, shx 등 총 5개의 파일이 설치되게 됩니다.

따라서 Q-gis에서 끌어와 드롭시키면 바로 지도상에 위치 포인트가 생성되게 됩니다. 번거로운 과정없이 바로 버퍼 설정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아 공유합니다!!

분업한 내용 일정에 관하여

제가 이해를 제대로 못한 게 있는 것 같아서.. 카톡으로 하려다가 이슈 올립니다.

현재 진행 사항과 앞으로 계획을 잘 정리해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 #7 에 다 된 사항 체크표시하는 것 어떠신가요?
-> 괜찮으시다면 각자 하신 부분 체크 표시 부탁드립니다.

우선 @kangyejee 님이 데이터 수집 완료
그리고 @yedimi 님이 ahp 분석 설문조사지 생성 완료 (수정 사항 반영 필요)
@fora22 님 14일부터 최종 입지 분석 진행
-> 여기까지 맞나요?

저는 아직 군집화 진행을 못했는데 12일 밤 11시까지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혹시 너무 늦을까요? ㅜㅜ

AHP 설문지

AHP 설문지를 다 만들었는데 괜찮은지 한번씩 봐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https://forms.gle/PCZEpohJP1LSkTt49 (5점척도)

@fora22 님이 7점이나 9점척도로 하는것이 괜찮을 것 같다고 생각하셨고 저도 마찬가지 이지만, 7~9점 척도를 만들 수 있는 폼이 SSRA이라는 사이트 뿐인것 같은데 사이트가 전체적으로 불안정 하더라구요 ㅠㅜㅠ 설문지를 3번 넘게 만들어도 안만들어지고, 수정도 잘 안돼서.. 이렇게라도 만들었어요 ㅠ 고칠 점 있으면 말해주세요

Recommend Projects

  • React photo React

    A declarative, efficient, and flexible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 Vue.js photo Vue.js

    🖖 Vue.js is a progressive, incrementally-adoptable JavaScript framework for building UI on the web.

  • Typescript photo Typescript

    TypeScript is a superset of JavaScript that compiles to clean JavaScript output.

  • TensorFlow photo TensorFlow

    An Open Source Machine Learning Framework for Everyone

  • Django photo Django

    The Web framework for perfectionists with deadlines.

  • D3 photo D3

    Bring data to life with SVG, Canvas and HTML. 📊📈🎉

Recommend Topics

  • javascript

    JavaScript (JS) is a lightweight interpreted programming language with first-class functions.

  • web

    Some thing interesting about web. New door for the world.

  • server

    A server is a program made to process requests and deliver data to clients.

  •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is a way of modeling and interpreting data that allows a piece of software to respond intelligently.

  • Game

    Some thing interesting about game, make everyone happy.

Recommend Org

  • Facebook photo Facebook

    We are working to build community through open source technology. NB: members must have two-factor auth.

  • Microsoft photo Microsoft

    Open source projects and samples from Microsoft.

  • Google photo Google

    Google ❤️ Open Source for everyone.

  • D3 photo D3

    Data-Driven Documents codes.